symbol

이스라엘 청년 10명 중 7명 “창업성공 자신”

창조경제 선진국 이스라엘에서 경영·경제 이해력 인증시험 ‘매경TEST’의 영어 버전인’MK-TEST인터내셔널’이 처음으로 치러졌다.

image_readtop_2015_653892_14363609202017482

‘MK-TEST인터내셔널’은 지난 5월 26일과 6월 27일 양일에 걸쳐 현지 최고 명문대학인 히브리대(예루살렘 소재 할 하초핌 캠퍼스)에서 재학생과 창업·취업 준비생, 기업인 등 100여 명을 대상으로 시험이 치러졌다. 한국 경영·경제 관련 국가공인시험이 영어 버전을 만들어 해외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치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행사를 통해서, 이스라엘과 한국 간의 인재 교류 및 국제비즈니스 진출 활성화 지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20150709_2017304_1436352899__99_20150708195609

시험이 종료된 후, 응시자들에 대한 설문이 진행되었고 이스라엘 청년들은 설문 응답을 통해 같은 또래 한국인과는 다른 의식을 보여줬다.

이스라엘 청년들은 창조경제 선진국의 국민답게 한국 젊은이들에 비해 창업에 대한 자신감이 높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 청년들은 특히 창업에 진취적인 모습을 보였다. ‘본인이 창업을 한다면 성공 가능성은’이라는 질문에 이스라엘 응시자 중 23.1%는 ‘매우 높다’, 50.0%는 ‘높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이 창업에 상당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매우 낮다’는 응답은 없었고 ‘보통이다’는 26.9%였다.

 

 

image_readmed_2015_653892_14363609202017483

이에 비해 한국 청년들은 상대적으로 창업에 비관적이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13년 국내에서 실시한 ‘청년 창업지원정책 프로그램’ 참여자 501명을 대상으로 같은 문항을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매우 높다’는 4.8%, ‘높다’는 20.2%에 그쳤다. 반면 ‘낮다’는 25.0%, ‘매우 낮다’는 6.8%였다. 한국 청년들은 창업 성공보다는 실패 가능성이 높다고 답해 이스라엘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은 자본주의 근본 원칙을 잘 따르고 있으며, 기업의 성장을 중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친(親)기업적이며 진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의식의 바탕에는 실패를 소중한 경험이라고 여기는 이스라엘 문화가 기반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창업 후 성공적으로 안착한 이스라엘 기업 ‘파이버’의 리론 스맛자 마케팅 매니저는 “이스라엘 창업가들은 위험을 감수(Take risks)해야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창업가에게 초기 실패는 향후 성공을 위한 큰 자산이 된다”고 말했다.

더 자세한 소식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653892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ource 매일경제